산업 IoT & 스마트 팩토리 디지털트윈/IoT 시스템 아키텍처

[디지털트윈 x IoT x Unity x Arduino] 1편. 디지털 트윈 개념과 활용 분야

프로잉2 2025. 4. 30. 19:18
728x90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란, 

현실 세계의 사물·시스템을 가상공간에 실시간으로 복제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예측할 수 있는 기술

 

산업현장의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Unity 등의 3D 엔진으로 시각화하고, IoT와 연동하여 예지보전, 원격제어, 공정 최적화 등을 실현

🔍 디지털 트윈의 정의

  • 정의: 물리적 객체(설비, 기계, 공정)의 디지털 복제본(3d 모델)
  • 구성 요소
    • 물리 시스템: 공장, 설비, 장비
    • 디지털 모델: Unity, Unreal 등으로 구현된 3D 환경
    • 연결 인터페이스: IoT 센서, Arduino, PLC, OPC-UA 등
    • 양방향 통신: 실제 장비와 가상의 트윈 간 상태 동기화

 

🧠 디지털 트윈 기술 구성도


아두이노 + 가상 모터 제어

https://www.youtube.com/watch?v=ZELoWEx5lM0&list=PLRynT3Cy0vZci5GoPZL7z5-obndSOOxJi

 

💡 주요 특성

  • 실시간 데이터 통합 (온도, 습도, 압력, 속도 등)
  • 고급 시뮬레이션 + 예측 기능 내장
  • 분석 및 유지보수 자동화

🌍 실제 활용 분야

  • 스마트팩토리: 설비 상태 실시간 점검, 예지보수
  • 항만/물류: 위치 기반 자산 추적 및 경로 최적화
  • 스마트시티: 세종, 인천, 전주 디지털 국토 구현
  • 조선/플랜트: 포스코,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등에서 도입

스마트팜 + iot 센서 연
https://www.youtube.com/watch?v=q_rj3KDXCOY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