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웹 백엔드 개발자에게 “APM”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APM(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은 서버에서 일어나는 트래픽, 쿼리, 오류, 응답 속도 등을 모니터링하고 병목을 찾아내는 툴이에요.

하지만 어떤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운영하느냐에 따라 APM 도입 난이도와 범위가 크게 달라집니다.
오늘은 올려주신 표처럼 웹호스팅 · 서버호스팅 · 클라우드 각각의 특성과 APM 관점에서의 차이를 정리해 볼게요.


✅ 웹호스팅과 APM

  • 특징
    • 호스팅 업체의 서버 일부만 임대
    • 서버 설정권한 없음
  • APM 활용
    • 매우 제한적
    • PHP 기반 웹호스팅이라면 New Relic, Datadog 같은 APM 연동이 어려움
  • 주로 이런 분들에게 적합
    • 단순 회사 홈페이지, 커뮤니티, 소규모 블로그
  • 백엔드 개발자 관점
    • 서버 성능 튜닝 불가능
    • 코드 단에서만 로깅/모니터링 가능

✅ 서버호스팅과 APM

  • 특징
    • 물리 서버를 단독으로 임대/구매
    • OS, 미들웨어, DB 직접 설치/운영
  • APM 활용
    • APM 설치 자유로움 (e.g. New Relic, Elastic APM, Datadog)
    • 서버 자원 직접 모니터링 가능 (CPU, Memory, Disk)
  • 주로 이런 분들에게 적합
    • ERP, 대형 쇼핑몰, 회사 인트라넷 등
    • 보안 중요 서비스
  • 백엔드 개발자 관점
    • 커스텀 설정 가능 → 성능 최적화 유리
    • 초기 비용/관리 부담 큼

✅ 클라우드와 APM

  • 특징
    • 가상 서버 사용
    • 필요할 때 자유롭게 서버 확장/축소
  • APM 활용
    • 가장 유연
    • AWS X-Ray, Azure Monitor, GCP Operations Suite 등 클라우드 네이티브 APM 사용 가능
    • 인프라 + 앱 모니터링 한 번에 가능
  • 주로 이런 분들에게 적합
    • 스타트업, 게임/영상 플랫폼, SaaS 서비스
  • 백엔드 개발자 관점
    • Auto-Scaling 환경에서도 트래픽 추적 가능
    • 비용은 사용량 따라 유동적
    • Observability 설계 필수

✅ APM 관점 정리

구분 웹호스팅 서버호스팅 클라우드
APM 도입 난이도 매우 어려움 (거의 불가) 높음 (자유롭게 가능) 매우 높음 (네이티브 툴 多)
모니터링 범위 어플리케이션 레벨 제한적 OS ~ App 전체 가능 OS ~ App + 클라우드 서비스까지 가능
확장성 불가능 물리 서버 한계 있음 Auto Scaling으로 무제한 확장 가능
비용 저렴 비쌈 사용량 기반, 효율적이지만 과금 주의

 


✅ 백엔드 개발자라면 기억할 점

  • 웹호스팅 → APM 기대하지 말고, 단순 로깅 수준 유지
  • 서버호스팅 → 직접 구축 가능, 성능 튜닝 최적
  • 클라우드 → 클라우드 네이티브 APM 적극 활용
    • 예) AWS X-Ray, GCP Trace, Datadog SaaS

결론
APM을 제대로 쓰고 싶다면 서버호스팅 or 클라우드가 답입니다.
특히 클라우드는 네이티브 APM 솔루션이 잘 갖춰져 있어 빠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요.
하지만 비용과 복잡도를 꼭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