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홀로그램 기술 개요
홀로그램은 레이저 광의 간섭 현상을 이용해 입체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술로, 1947년 데니스 가보르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이후 레이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육, 의료, 보안, 엔터테인먼트까지 영역을 확장 중입니다.
🧬 홀로그램의 원리와 구분
- 원리: 레이저 빛의 반사와 회절, 간섭을 기록하여 3차원 정보로 복원
- 기록 & 재생: 참조광과 물체광의 간섭무늬를 저장 → 다시 레이저를 비추어 3D 영상으로 재생
- 유형 구분: 간섭 기반/회절 기반, 정적/동적 디스플레이로 분류
💡 플로팅 홀로그램이란?
- 기울어진 투명 포일 또는 하프미러를 활용하여 공중에 영상이 떠 있는 듯한 효과를 주는 기술
- Single-plane, Pyramid, Multi-planar 구조 등으로 구현
- 보안, 공연, 홍보, 교육 등에 적극 활용되고 있음
🖥️ 홀로그램 모니터 & 탠저블 홀로그램
- 룩킹 글라스: 안경 없이 3D 이미지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 탠저블 홀로그램: 플라즈마 기술로 공중에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빛 입자를 생성하는 기술
💼 홀로그램 산업과 전망
- 2025년까지 743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보안, 교육, 의료, 자동차, 문화 콘텐츠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산
- 국내 시장도 꾸준히 성장하며, 수입 의존 탈피를 위한 기술 자립이 과제
📹 홀로그램 영상 예시
- ▶ 선풍기형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시연 영상
https://www.youtube.com/shorts/ceBXRh7Yhrg - ▶ 거울 + 빔프로젝터를 활용한 플로팅 홀로그램 구현 예시
https://www.youtube.com/watch?v=-1vbIa3bRR8 - ▶ Pyramid 홀로그램 구현 예시
https://www.youtube.com/watch?v=2D_EEoQAC0w
🛠️ Pyramid 준비물
- 투명 플라스틱 판 (CD 케이스, PET 필름, 아크릴판 등)
- 자, 커터칼 (또는 가위)
- 테이프 또는 순간접착제
📐 도면 및 치수 (스마트폰용 기준)
정사각형 피라미드 4면 구조 (윗면 없이)
부위 | 길이 (cm) |
아래 변 | 6 |
위쪽 변 | 1 |
높이 | 3.5 |
📏 위 형태의 사다리꼴 4장을 잘라야 합니다.
'확장 현실(XR)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버스, 어디까지 왔나? – AR, VR, NFT와 디지털 휴먼의 시대 (0) | 2025.03.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