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ependency Injection (DI)

DI는 객체나 클래스가 자신의 의존성(다른 객체나 서비스)을 직접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주입해주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이 방식은 **Inversion of Control (IoC)**에 기반합니다. IoC는 객체의 생성과 의존성 관리를 프레임워크나 컨테이너가 대신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NestJS에서의 DI와 IoC 예시

  • ControllerService를 연결할 때, @Injectable() 데코레이터를 사용하여 Service를 주입받을 수 있습니다.
  • NestJS는 IoC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의존성을 주입합니다.

예시: DI와 IoC

import {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njectable()
export class MoviesService {
  private movies = [
    { id: 1, title: 'Inception' },
    { id: 2, title: 'Interstellar' },
  ];

  getAllMovies() {
    return this.movies;
  }

  getMovieById(id: number) {
    return this.movies.find(movie => movie.id === id);
  }
}

위의 MoviesService는 NestJS에서 DI를 통해 주입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Controller에서 DI 사용

import { Controller, Get, Param } from '@nestjs/common';
import { MoviesService } from './movies.service';

@Controller('movies')
export class MoviesController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moviesService: MoviesService) {}

  @Get()
  getAllMovies() {
    return this.moviesService.getAllMovies();
  }

  @Get(':id')
  getMovieById(@Param('id') id: number) {
    return this.moviesService.getMovieById(id);
  }
}

위의 MoviesController는 MoviesService를 생성자에서 주입받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이 바로 **Inversion of Control (IoC)**입니다.

 

Injectable과 Module Provider의 관계

NestJS에서 Service@Injectable() 데코레이터를 사용해 정의되며, 이를 Module프로바이더에 등록하여 의존성을 주입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더는 클래스가 NestJS IoC 컨테이너에서 관리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 movies.module.ts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MoviesService } from './movies.service';
import { MoviesController } from './movies.controller';

@Module({
  imports: [],
  controllers: [MoviesController],
  providers: [MoviesService],  // 여기서 MoviesService를 프로바이더로 등록
})
export class MoviesModule {}

2. GET /movies 로직 service로 전환하기

Controller에서 서비스로 전환

  1. GET movie 요청을 처리하는 Controller에서 Service로 로직을 전환합니다.

기존 Controller 로직 (GET)

@Get()
getAllMovies() {
  return [
    { id: 1, title: 'Inception' },
    { id: 2, title: 'Interstellar' },
  ];
}

Service로 전환된 코드 (GET)

 
// movies.service.ts
@Injectable()
export class MoviesService {
  private movies = [
    { id: 1, title: 'Inception' },
    { id: 2, title: 'Interstellar' },
  ];

  getAllMovies() {
    return this.movies;
  }
}
// movies.controller.ts
@Get()
getAllMovies() {
  return this.moviesService.getAllMovies(); // Service 호출
}

3. GET /movies/:id 로직 service로 전환하기

GET movie by ID 로직을 Service로 분리

기존 Controller 로직 (GET by ID)

@Get(':id')
getMovieById(@Param('id') id: number) {
  const movies = [
    { id: 1, title: 'Inception' },
    { id: 2, title: 'Interstellar' },
  ];
  return movies.find(movie => movie.id === id);
}

Service로 전환된 코드 (GET by ID)

// movies.service.ts
@Injectable()
export class MoviesService {
  private movies = [
    { id: 1, title: 'Inception' },
    { id: 2, title: 'Interstellar' },
  ];

  getMovieById(id: number) {
    return this.movies.find(movie => movie.id === id);
  }
}
// movies.controller.ts
@Get(':id')
getMovieById(@Param('id') id: number) {
  return this.moviesService.getMovieById(id); // Service 호출
}

4. POST /movies 로직 service로 전환하기

POST 요청을 처리하는 로직을 Service로 이동

기존 Controller 로직 (POST)

@Post()
createMovie(@Body() movie: { title: string }) {
  const newMovie = { id: Date.now(), title: movie.title };
  return newMovie;
}

Service로 전환된 코드 (POST)

 
// movies.service.ts
@Injectable()
export class MoviesService {
  private movies = [];

  createMovie(title: string) {
    const newMovie = { id: Date.now(), title };
    this.movies.push(newMovie);
    return newMovie;
  }
}
// movies.controller.ts
@Post()
createMovie(@Body() movie: { title: string }) {
  return this.moviesService.createMovie(movie.title); // Service 호출
}

5. PATCH /movies/:id 로직 service로 전환하기

PATCH 요청으로 영화 데이터를 수정하는 로직을 Service로 이동

기존 Controller 로직 (PATCH)

@Patch(':id')
updateMovie(@Param('id') id: number, @Body() movie: { title: string }) {
  const updatedMovie = { id, title: movie.title };
  return updatedMovie;
}

Service로 전환된 코드 (PATCH)

 
// movies.service.ts
@Injectable()
export class MoviesService {
  private movies = [
    { id: 1, title: 'Inception' },
    { id: 2, title: 'Interstellar' },
  ];

  updateMovie(id: number, title: string) {
    const movie = this.movies.find(movie => movie.id === id);
    if (movie) {
      movie.title = title;
      return movie;
    }
    return null;
  }
}
// movies.controller.ts
@Patch(':id')
updateMovie(@Param('id') id: number, @Body() movie: { title: string }) {
  return this.moviesService.updateMovie(id, movie.title); // Service 호출
}

6. DELETE /movies/:id 로직 service로 전환하기

DELETE 요청으로 영화 데이터를 삭제하는 로직을 Service로 이동

기존 Controller 로직 (DELETE)

@Delete(':id')
deleteMovie(@Param('id') id: number) {
  return `Movie with ID ${id} deleted`;
}

Service로 전환된 코드 (DELETE)

 
// movies.service.ts
@Injectable()
export class MoviesService {
  private movies = [
    { id: 1, title: 'Inception' },
    { id: 2, title: 'Interstellar' },
  ];

  deleteMovie(id: number) {
    const index = this.movies.findIndex(movie => movie.id === id);
    if (index > -1) {
      this.movies.splice(index, 1);
      return `Movie with ID ${id} deleted`;
    }
    return null;
  }
}
// movies.controller.ts
@Delete(':id')
deleteMovie(@Param('id') id: number) {
  return this.moviesService.deleteMovie(id); // Service 호출
}

전체적인 흐름 정리

NestJS에서 GET, POST, PATCH, DELETE 요청을 Service로 전환하는 방식은 코드의 재사용성유지보수성을 높여줍니다. Controller에서는 요청을 받아서 Service로 전달하고, 실제 비즈니스 로직은 Service에서 처리하게 됩니다.

  • Controller는 HTTP 요청을 받아서 Service로 전달
  • Service는 실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
  • Repository는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여 데이터 저장 및 조회를 처리

728x90
728x90

1. Nest.js 요청 사이클 구조

Nest.js는 Node.js 기반의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
요청이 들어오면 미들웨어, 가드, 인터셉터, 파이프 등 여러 컴포넌트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컨트롤러, 서비스, 레포지토리로 처리됩니다.

✅ Nest.js 사이클 처리 흐름

  1. Request (요청)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이 들어옵니다. 예를 들어, POST /users 요청이 들어왔을 때입니다.
  2. Middleware (미들웨어)
    • 요청이 들어오면 먼저 미들웨어가 실행됩니다. 주로 요청의 로그 기록이나 인증을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3. Guard (가드)
    • 요청에 대한 보안 검사를 담당합니다. 예를 들어, 인증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4. Interceptor (인터셉터)
    • 요청과 응답을 가로채서,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로깅을 추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응답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성능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5. Pipe (파이프)
    • 요청 데이터의 유효성 검증변환을 담당합니다. 예를 들어, JSON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하거나 데이터 타입을 체크합니다.
  6. Controller (컨트롤러)
    • 최종적으로 요청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요청에 맞는 서비스 메소드를 호출합니다.
  7. Service (서비스)
    • 실제 비즈니스 로직이 서비스에서 처리됩니다. 예를 들어, DB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외부 API를 호출하는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8. Repository (레포지토리)
    •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며, 쿼리 실행데이터 저장 등의 역할을 합니다.

✅ 비유

Nest.js 요청 사이클은 마치 음식 주문과 같아요.

  • 미들웨어주문 접수대에서 주문을 받고,
  • 가드주문이 유효한지 확인하며,
  • 인터셉터음식을 조리하기 전에 필요한 변경을,
  • 파이프음식의 재료가 올바른지 확인하고,
  • 컨트롤러음식을 준비하고,
  • 서비스요리사가 음식 레시피를 따라 조리하며,
  • 레포지토리음식 재료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2. Postman 프로그램 설명

PostmanAPI 개발, 테스트 및 디버깅을 위한 도구입니다.
API 요청을 쉽게 시뮬레이션하고, HTTP 메소드, 헤더, 본문, 파라미터 등을 구성하여 API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기능

  • API 요청 테스트: GET, POST, PUT, DELETE 등 다양한 HTTP 메소드 지원
  • 요청 데이터와 응답 보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쉽게 확인
  • 컬렉션 기능: 여러 API 테스트를 조직적으로 관리
  • 환경 변수: API 호출 시 동적 변수 사용 가능 (예: 인증 토큰)

✅ Postman 사용 예시

  1. GET 요청: 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users
  2. POST 요청: POS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users (본문에 JSON 데이터 포함)
  3. 헤더 추가: Authorization: Bearer <token>

3. HTTP 메소드 설명

✅ 1. POST

  • 서버에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할 때 사용됩니다.
  • 예: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기 위한 POST /users

✅ 2. PUT

  • 서버에서 기존 리소스를 업데이트 할 때 사용됩니다. 전체 업데이트입니다.
  • 예: PUT /users/1 → ID가 1인 사용자의 데이터를 전체 수정

✅ 3. DELETE

  • 서버에서 리소스를 삭제할 때 사용됩니다.
  • 예: DELETE /users/1 → ID가 1인 사용자를 삭제

✅ 4. GET

  • 서버에서 리소스를 조회할 때 사용됩니다.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는 응답합니다.
  • 예: GET /users → 모든 사용자를 조회하거나 GET /users/1 → 특정 사용자를 조회

✅ 5. PATCH

  • 서버에서 리소스를 부분적으로 수정할 때 사용됩니다.
  • 예: PATCH /users/1 → ID가 1인 사용자의 일부 속성만 수정

✅ 비유

POST새로운 집을 짓는 것과 같아요.
GET집에 들어가서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과 비슷하죠.
PUT기존 집을 리모델링하는 것, DELETE집을 철거하는 것,
PATCH집의 일부만 수리하는 것입니다.


4. 요약

  • Nest.js는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미들웨어, 가드, 인터셉터, 파이프 등의 여러 요청 처리 흐름을 제공합니다.
  • Postman은 API 요청을 테스트하고 디버깅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 HTTP 메소드는 요청에 따라 리소스를 생성, 수정, 삭제, 조회하는 데 사용됩니다.
728x90
728x90

1. HTTP 요청 구조

HTTP 요청은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모바일 앱 등)**에서 서버로 보내는 데이터입니다.
요청을 어떻게 보내고, 어떤 정보를 포함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HTTP 요청의 구성 요소

  1.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2. Method (메소드)
    • 요청 방식입니다. 주로 4가지가 사용됩니다.
      • GET: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옴
      • POST: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
      • PATCH: 서버의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수정
      • DELETE: 서버에서 데이터를 삭제
  3. Header (헤더)
    • 요청에 대한 메타 정보가 포함됩니다. 키-값 쌍으로 구성되며, string 형식으로 작성됩니다.
    • 예: Content-Type: application/json, Authorization: Bearer <token>
  4. Body (본문)
    • POST, PUT, PATCH 요청에서 사용됩니다. 서버로 보내는 실제 데이터입니다.
    • 예: JSON 형식의 데이터 ({"name": "John", "age": 30})

✅ 비유

HTTP 요청은 '편지'와 같다

  • URL: 편지를 보낼 주소
  • Method: 편지 종류 (편지 보내기, 편지에 답장, 편지 수정, 편지 회수)
  • Header: 편지의 정보 (발송인, 수신인, 날짜 등)
  • Body: 편지 내용

2. HTTP 상태 코드 (Status Code)

HTTP 상태 코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낼 때 그 상태를 알려주는 숫자입니다.
주로 3자리 숫자이며, 범위에 따라 응답의 종류가 나눠집니다.

✅ 상태 코드 범위

코드 범위 의미 설명
100-199 정보 응답 요청을 받았으며, 클라이언트가 계속 진행해야 함
200-299 성공 응답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
300-399 리다이렉션 요청한 리소스가 다른 곳으로 이동되었음
400-499 클라이언트 에러 응답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요청
500-599 서버 에러 응답 서버 측 오류가 발생했을 때
 

✅ 상세 상태 코드 설명

  •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 201 Created: 새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습니다.
  • 301 Moved Permanently: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다른 URL로 이동되었습니다.
  • 400 Bad Request: 요청이 잘못되었거나 필수 값이 빠졌습니다.
  • 401 Unauthorized: 인증이 필요하거나 인증 토큰이 잘못되었습니다.
  • 403 Forbidden: 인증은 되었지만 해당 리소스에 접근할 권한이 없습니다.
  • 404 Not Found: 요청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405 Method Not Allowed: 사용하려는 HTTP 메소드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에서 예기치 않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3. 같은 URL에 여러 개의 Method

  • URL은 하나, 하지만 Method는 여러 개일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api/user라는 URL이 있다고 할 때:
    • GET /api/user: 사용자 데이터를 가져옴
    • POST /api/user: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를 추가
    • PUT /api/user: 기존 사용자 데이터를 수정
    • DELETE /api/user: 사용자 데이터를 삭제

✅ 비유

**URL은 '도로'**이고, Method는 '차 종류'
한 도로에서 여러 차가 주행할 수 있지만, 각 차는 목적이 다릅니다.


4. HTTP 요청 예시

다음은 POST 요청을 사용하는 예시입니다.

# POST 요청 예시 (API 호출)
POST /api/user HTTP/1.1
Host: example.com
Content-Type: application/json
Authorization: Bearer <token>

{
  "name": "John",
  "age": 30
}
  • POST: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
  • Host: 요청을 받을 서버의 주소
  • Content-Type: 전송하는 데이터의 형식
  • Authorization: 인증 토큰

5. HTTP 응답 예시

다음은 200 OK 응답 예시입니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ontent-Length: 123

{
  "name": "John",
  "age": 30
}
  •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됨
  • Content-Type: 응답 데이터 형식
  • Content-Length: 응답 데이터 크기

✅ 한 줄 요약

HTTP 요청과 응답은 메시지 교환의 규칙이며, URL, Method, Header, Body와 함께 Status Code로 결과를 알려줍니다.

728x90
728x90
항목  Next.js Express.js
목적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과 정적 사이트 생성(SSG)을 지원하는 React 프레임워크 간단하고 유연한 서버 사이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주요 특징 - React 기반 SSR 지원 - HTTP 요청을 처리하는 기본적인 웹 서버
  - 페이지 기반 라우팅 (파일 시스템 기반) - 미들웨어와 라우터를 활용한 API 서버 개발에 적합
  - API Routes 제공 (서버리스 기능) -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CSR) 기반 앱 개발에 적합
주요 사용 사례 - SEO 최적화가 필요한 웹 애플리케이션 - REST API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백엔드
라우팅 - 파일 시스템 기반의 자동 라우팅 (pages 폴더) - 직접 라우팅 설정 (express.Router() 사용)
렌더링 방식 -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정적 사이트 생성(SSG) 지원 -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 서버 사이드 렌더링은 지원 안함
설정 복잡도 - 상대적으로 복잡 (특히 서버 사이드 렌더링, 빌드 설정 등) - 매우 간단하고 유연함, 설정이 적음

1. Next.js

Next.jsReact를 기반으로 한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정적 사이트 생성(SSG), API Routes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특히 SEO 최적화와 빠른 페이지 로딩을 위한 기능이 많이 제공됩니다.

주요 특징

  • 파일 기반 라우팅: pages 폴더에 있는 파일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라우팅 설정
  • SSR/SSG 지원: 페이지를 서버에서 미리 렌더링해 보내거나, 빌드 시 정적으로 생성
  • API Routes: 서버리스 함수처럼 API를 손쉽게 작성할 수 있음

Next.js 예제 코드

# Next.js 설치
npx create-next-app@latest my-next-app
cd my-next-app
npm run dev

pages/index.js

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Home = () => {
  return (
    <div>
      <h1>Welcome to Next.js!</h1>
    </div>
  );
}

export default Home;

2. Express.js

Express.jsNode.js 기반의 간단하고 유연한 웹 서버 프레임워크입니다.
주로 API 서버를 구축하거나, RESTful API미들웨어를 활용한 요청 처리에 적합합니다.

주요 특징

  • 라우터 및 미들웨어: HTTP 요청을 처리하는 기본적인 기능 제공
  • 유연성: 다양한 플러그인과 미들웨어를 통해 확장 가능
  • 빠른 개발: 설정이 간단하고, 직관적인 코드 작성

Express.js 예제 코드

# Express 설치
npm init -y
npm install express

app.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 기본 라우팅
app.get('/', (req, res) => {
  res.send('Hello World from Express!');
});

// 서버 실행
app.listen(3000, () => {
  console.log('Server running on http://localhost:3000');
});

Next.js vs Express.js — 요약

항목 Next.js Express.js
사용 목적 SSR, SSG를 사용하는 React 기반 앱 API 서버 및 HTTP 요청 처리
라우팅 파일 시스템 기반 라우팅 (pages 폴더) 직접 라우터 설정 (express.Router)
렌더링 방식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정적 사이트 생성(SSG)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CSR)
주요 사용처 SEO 최적화가 필요한 웹 애플리케이션 API 서버, 간단한 웹 서버
 

한 줄 요약

  • Next.js: 서버 사이드 렌더링정적 사이트 생성이 필요한 React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 Express.js: 간단한 API 서버HTTP 요청 처리에 최적화된 Node.js 프레임워크
728x90
728x90

제품 개발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이 바로:

PoC → Prototype → Pilot → MVP

이 네 가지는 비슷해 보이지만 개념과 목적이 조금씩 다르다.
오늘은 각 단계의 의미를 비유로 풀어서 쉽게 정리해보자!


✅ 1. PoC (Proof of Concept)

“이게 될까? 가능성만 보는 단계”

  • 기술적 아이디어나 사업 아이디어가 현실에서 가능한지 확인
  • 제품 완성도는 신경 쓰지 않음
  • 실험실 수준에서 기능 하나만 테스트할 수도 있음

비유

“레시피만 보고 요리가 가능할지 확인해보는 것”
예) “김치 초콜릿이 과연 만들 수 있을까?”


✅ 2. Prototype (프로토타입)

모양이라도 만들어보자!”

  • 제품 모양이나 UI/UX, 동작 방식을 실물처럼 만들어보는 단계
  • 최종 제품과는 다르고, 임시 기능일 수 있음
  • 투자자 설득용이나 내부 공유용으로 쓰임

비유

“레고로 만든 자동차 모형”
외형은 비슷하지만 실제 주행은 못 한다


✅ 3. Pilot (파일럿)

소규모 실전 테스트 해보자!”

  • 제한된 사용자에게 실제 환경에서 제품 사용을 테스트
  • PoC/프로토타입보다 현실성 높음
  • 서비스 운영 프로세스, 사용자 반응, 성능 등을 체크

비유

“신메뉴를 VIP 고객만 시식하게 해보는 것”
예) 카페가 신음료를 일부 매장만 판매


✅ 4. MVP (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으로 시장 반응을 본다!”

  • 고객이 쓸 수 있을 만큼 기본 기능만 탑재
  • 완벽하지 않아도 빠르게 시장에 출시
  • 고객 피드백을 받아 개선

비유

“자전거 시제품, 브레이크+페달만 되는 최소 기능”
→ 나중에 변속기, 바구니 추가할 수 있음


✅ 개발 순서로 정리

 
아이디어 → PoCPrototypePilotMVPFull Product

 


✅ 한 줄 요약

PoC = 가능성 테스트
Prototype = 모양 테스트
Pilot = 작은 실전 테스트
MVP = 최소 기능 출시

 

728x90
728x90

CDC (Change Data Capture)

“마지막으로 뭐가 바뀌었지?”를 찾아내는 기술

  •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된 데이터만 골라내는 기술
  • 대용량 백업, 데이터 통합 시 효율적
  • 비유:
  • “CCTV 영상 전체가 아니라, 사건이 일어난 순간만 따로 저장하는 것”

Open Data (개방형 데이터)

“누구나 가져다 써!”

  • 정부, 학교, 기업이 무료 공개
  • 비유:
  • “국가가 공개한 무료 도서관 자료”

Kanban Board (간반 보드)

“일 잘하고 있나 한눈에 보기”

  • todo → in progress → done
  • 비유:
  • “식당 주방의 주문 현황판”

Scrum (스크럼)

“짧고 굵게 개발!”

  • 애자일 방식 개발
  • 2~4주 주기의 Sprint 반복
  • 비유:
  • “매일 스탠드업 미팅하는 운동 팀”

물류 PDA

“작은 컴퓨터”

  • 바코드 스캔, 결제
  • 비유:
  • “손바닥 위의 미니 컴퓨터”

DCPM / CPM

“광고비 계산법”

  • CPM = Cost Per Mille (1,000회 노출당 비용)
  • DCPM = Dynamic CPM (유동적 가격)
  • 비유:
  • “1,000명이 본 만큼 돈 내는 광고”

DCMS

“디지털 콘텐츠의 도서관”

  • e북, 오디오북 관리
  • 비유:
  • “도서관 사서처럼 콘텐츠 관리”

EDI

“전자 문서 주고받기”

  • 기업 간 데이터 교환
  • 비유:
  • “택배 송장 전산 전송”

DW (Data Warehouse)

“데이터 창고”

  • 여러 시스템의 데이터를 한곳에 모음
  • 비유:
  • “여러 물류창고 물건을 하나로 모은 종합창고”

SSO (Single Sign-On)

“한 번 로그인으로 끝”

  • 여러 시스템을 한 번에 로그인
  • 비유:
  • “하나의 열쇠로 모든 문 여는 마스터키”

SLO (Sign LogOn)

“각 방마다 다른 열쇠”

  • 각 시스템이 세션 개별 관리
  • 비유:
  • “집 문, 회사 문 열쇠가 다 다른 것”

EAM (Enterprise Access Management)

“회사 문단속 총책임자”

  • SSO + 권한 관리
  • 비유:
  • “회사 출입증과 보안 통제 담당자”

SMS (System Management System)

“서버 관리자 도구”

  • 서버/프로그램 모니터링
  • 비유:
  • “건물 관리자처럼 서버 관리”

SI (System Integration)

“IT 건설회사”

  • 전산 시스템 기획·개발·유지보수
  • 비유:
  • “빌딩 설계부터 시공까지 하는 종합건설사”

EAI

“서로 말 안 통하는 시스템 통역사”

  • 시스템 간 연동
  • 비유:
  • “한국어-영어-일본어 동시통역”

Meta Data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 데이터를 설명하는 정보
  • 비유:
  • “책 제목과 목차”

PMO

“프로젝트 사령부”

  • 프로젝트 관리 조직
  • 비유:
  • “전략실에서 작전 지휘”

AS-IS / TO-BE

“지금 vs 미래”

  • AS-IS: 현재 상태
  • TO-BE: 개선 후 미래 모습
  • 비유:
  • “다이어트 전후 사진”

MDM (Mobile Device Management)

“회사폰 관리자”

  • 회사 기기 보안 관리
  • 비유:
  • “엄마의 스마트폰 제한 모드”

CIMS

“스마트 공장”

  • 제조 전 과정을 통합 관리
  • 비유:
  • “로봇 공장 컨트롤타워”

Batch Processing

“일괄 처리”

  • 대량 작업 한꺼번에 처리
  • 비유:
  • “밤새 세탁기 돌리기”

I/F (Interface)

“접점”

  • 시스템 간 연결 규약
  • 비유:
  • “콘센트와 플러그”

API

“서비스 메뉴판”

  • 프로그램 간 소통 규칙
  • 비유:
  • “레스토랑 메뉴판”

WAS (Web Application Server)

“웹요리사”

  • 동적 페이지 처리
  • 비유:
  • “주문받아 요리하는 셰프”

DAO (Data Access Object)

“DB 출입문”

  • DB 작업 담당 객체
  • 비유:
  • “은행 창구 직원”

gRPC

“구글이 만든 원격통신”

  • 빠른 서비스 호출
  • 비유:
  • “국제전화 대신 인터넷 전화”

Swagger

“API 설명서 자동 제작기”

  • API 문서화
  • 비유:
  • “자동 완성 메뉴판”

Spring

“자바 개발 보조 툴”

  • 자바 개발을 쉽게
  • 비유:
  • “자동차의 네비게이션”

SpotBugs

“자바 버그 탐지견”

  • 정적 분석 툴
  • 비유:
  • “탐지견이 보안약점 냄새 맡는 것”

CDN

“콘텐츠 배달 기사”

  • 사용자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 전달
  • 비유:
  • “동네 택배기사”

IaaS / PaaS / SaaS

“클라우드 자판기”

  • IaaS → 서버만 빌려줌 (ex. AWS EC2)
  • PaaS → 개발환경도 세팅해줌 (ex. Heroku)
  • SaaS → 소프트웨어 완제품 제공 (ex. Gmail)
  • 비유:
  • “라면 자판기 vs 컵라면 vs 배달된 라면”

IaC

“인프라 레시피”

  • 코드로 서버 환경 구성
  • 비유:
  • “셰프의 레시피 카드”

12-factors

“SaaS 개발 12계명”

  • 클라우드 친화 개발 규칙
  • 비유:
  • “건축 설계 표준”

SSR vs SPA

  • SSR → 서버가 페이지 렌더링
  • “주방에서 요리 다 해놓고 내보내는 식당”
  • SPA → 처음만 로드, 이후엔 부분 교체
  • “뷔페에서 필요한 음식만 접시에”

Thymeleaf

“스프링의 뷰 엔진”

  • HTML 템플릿
  • 비유:
  • “JSP와 비슷한 스프링 뷰 제작 툴”

On-Premise

“내 집 마련”

  • 서버를 직접 보유·운영
  • 비유:
  • “전세 말고 자가 소유”

Aurora

“AWS판 MySQL”

  • MySQL 호환 DB
  • 비유:
  • “튜닝된 MySQL 슈퍼카”

정규표현식

“문자열 필터링 도구”

  • 패턴 매칭
  • 비유:
  • “문서에서 찾기/바꾸기”

Swagger

“API 설명서 자동 생성기”

  • API 스펙 문서화
  • 비유:
  • “요리책 자동 작성기”

CI/CD

“개발 자동화”

  • CI: 소스 합치기 → 빌드/테스트
  • CD: 자동 배포
  • 비유:
  • “자동화 공장”

DevOps

“개발 + 운영의 결혼”

  • 개발과 운영 협업
  • 비유:
  • “주방과 홀 직원의 팀워크”

GitOps

“깃으로 운영관리”

  • Git에 기반한 배포 관리
  • 비유:
  • “레시피 노트를 공유하는 셰프들”

WSL

“윈도우 속 리눅스”

  • Windows에서 Linux 환경 실행
  • 비유:
  • “집 안에 작은 캠핑장”

CMS

“홈페이지 제작 툴”

  • 워드프레스 같은 시스템
  • 비유:
  • “즉석 웹사이트 믹스”

HostOS / GuestOS

“본체와 가상머신”

  • HostOS → 진짜 내 컴퓨터
  • GuestOS → VM 위의 OS
  • 비유:
  • “집주인 vs 세입자”

트리거 (Trigger)

“자동 버튼”

  • DB의 자동 동작 스크립트
  • 비유:
  • “센서 등불”

트랜잭션

“한 덩어리 작업”

  • 전부 성공 or 전부 실패
  • 비유:
  • “송금은 중간 실패 안 돼!”

Hotfix

“급한 불끄기”

  • 긴급 패치
  • 비유:
  • “소방차 출동”

Idempotent (멱등성)

“여러 번 해도 같은 결과”

  • 비유:
  • “불 끄고 또 끄는 것”

OCP (Open-Closed Principle)

“열려있되 닫혀있음”

  • 기존 코드 수정 없이 기능 추가
  • 비유:
  • “멀티탭에 기구 추가”

Beacon

“블루투스 라이트하우스”

  • 근거리 통신
  • 비유:
  • “등대 신호”

TFT (Task Force Team)

“특수팀”

  • 임시 조직
  • 비유:
  • “드라마의 특수수사팀”

VoC

“고객 목소리”

  • 고객 의견 수집
  • 비유:
  • “방명록”

CRM

“고객 관리 시스템”

  • 비유:
  • “VIP 명단 관리”

O2O / O4O

  • O2O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수령
  • “배달 앱”
  • O4O → 온라인이 오프라인 유도
  • “아마존 고 매장”

Onboarding

“조직 적응 돕기”

  • 비유:
  • “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KPI

“성과 잣대”

  • 비유:
  • “학교의 성적표”

PV / UV

  • PV → 페이지 뷰
  • “책 몇 번 펼쳤나”
  • UV → 순 방문자
  • “몇 명이 봤나”
728x90

'개발 언어 & 프레임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 개요  (0) 2024.12.13
728x90

Next.js는 개발자들이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폴더와 파일 구조에 명확한 규칙을 제공합니다.
덕분에 프로젝트 규모가 커져도 체계적인 코드 관리가 가능하죠.


✅ 기본 폴더 구조

예를 들어:

  • app 폴더
    • 파일 기반 라우팅
    • 폴더/파일 이름이 URL 경로가 됨
    • ex) app/about/page.tsx → /about 라우트 생성
  • public 폴더
    • 정적 파일(이미지, 폰트, favicon 등) 관리
    • public 폴더 안의 파일은 URL로 접근 가능
      • 예) /public/images/logo.png → /images/logo.png
  • components 폴더
    • UI 컴포넌트 모아두는 폴더
    •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에 유리

✅ 라우트(Route)란?

라우트(Route) =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나 주소

  • /about → About 페이지
  • /blog/123 → 블로그 글 상세 페이지

✅ 세그먼트(Segment)란?

URL 경로에서 슬래시(/)로 구분되는 각각의 부분

예) /blog/posts/123 경로에서

  • blog → 세그먼트
  • posts → 세그먼트
  • 123 → 세그먼트
  • 루트 세그먼트
    • 웹사이트의 시작점
    • 경로: /
  • 리프 세그먼트
    • URL 경로의 마지막 부분
    • 예) /blog/posts/123 → 123이 리프 세그먼트

✅ 페이지 간 링크 연결

Next.js에서 라우트 간 이동은 <Link> 컴포넌트로 처리합니다.
HTML의 <a> 태그와 비슷하지만, 추가 기능이 있습니다:

✅ <Link>의 특징

  • 클라이언트 사이드 내비게이션
    • 전체 페이지 새로고침 없이 화면만 바뀜
  • Prefetching
    • 사용자가 클릭하기 전에 필요한 페이지 데이터를 미리 로드
    • UX가 매우 빨라짐

✅ 사용 예시

예) 블로그 포스트 목록 만들기

// app/blog/page.tsx

import Link from "next/link";

export default function BlogPage() {
  const posts = [
    { id: 1, title: "Next.js 라우팅 이해하기" },
    { id: 2, title: "Next.js API Routes 완전정복" },
  ];

  return (
    <div>
      <h1>블로그 목록</h1>
      <ul>
        {posts.map((post) => (
          <li key={post.id}>
            <Link href={`/blog/${post.id}`}>
              {post.title}
            </Link>
          </li>
        ))}
      </ul>
    </div>
  );
}

✅ 결과

위 코드를 실행하면 /blog 페이지에서:

  • “Next.js 라우팅 이해하기” 클릭 → /blog/1로 이동
  • “Next.js API Routes 완전정복” 클릭 → /blog/2로 이동

모두 새로고침 없이 부드럽게 이동합니다.


✅ 한 줄 요약

Next.js는 폴더 구조 기반 라우팅 + 클라이언트 내비게이션으로
웹앱 개발을 쉽고 빠르게 만들어줍니다!

728x90
728x90

1. ESLint란?

“코드 규칙의 경찰관”

  • 코드에 문법 오류, 스타일 규칙 위반, 버그 가능성 등을 검사
  •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 경고/에러 표시
  • 팀 프로젝트에서 일관된 코드 스타일 유지에 필수

✅ 비유

ESLint는 문서 작성 시 맞춤법 검사기와 같다.
틀린 글자를 빨간 줄로 알려주듯, 잘못된 코드를 실시간으로 지적해 준다!


✅ 예시 규칙

  • no-unused-vars → 선언했는데 쓰지 않는 변수 잡아줌
  • eqeqeq → == 대신 === 쓰라고 알려줌
  • semi → 세미콜론 누락 감지

2. Prettier란?

“자동 정리 도구”

  • 코드 스타일을 통일해 주는 툴
  • 들여쓰기, 따옴표, 줄바꿈 등 코드 포맷팅 담당
  • ESLint가 규칙 검사라면, Prettier는 형식을 “자동으로 고쳐주는” 역할

✅ 비유

Prettier는 엑셀의 자동 서식 정리처럼, 코드를 “예쁘고 깔끔하게” 정리해 준다.


✅ 사용 예

  • 2칸 들여쓰기
  • 탭 대신 스페이스
  • 한 줄 길이 제한

✅ ESLint vs Prettier 차이

구분 ESLint Prettier
역할 규칙 검사 (문법/버그) 코드 스타일 포맷팅
수정 여부 일부 자동수정 가능 대부분 자동 수정
비유 맞춤법 검사기 자동 서식 정리기
 

3. TypeScript 설정과 설명

“자바스크립트에 타입을 입혀 안정성을 높여주는 언어”

  • JavaScript + 타입 시스템
  • 변수, 함수, 객체에 타입 지정
  • 런타임 에러를 컴파일 단계에서 미리 차단

✅ 비유

TypeScript는 자동차 보험과 같다.
사고가 나기 전에 대비해 두면, 나중에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


✅ tsconfig.json 예시

json

{
  "compilerOptions": {
    "target": "ES2020",
    "module": "ESNext",
    "strict": true,
    "esModuleInterop": true,
    "baseUrl": "./",
    "paths": {
      "@components/*": ["src/components/*"]
    }
  },
  "include": ["src"],
  "exclude": ["node_modules"]
}
  • strict → 엄격한 타입 체크
  • baseUrl, paths → 경로 Alias 설정 가능
  • esModuleInterop → CommonJS 모듈 호환

4. shadcn/ui란?

“Next.js 기반의 React UI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 shadcn/uiNext.js, TailwindCSS에 최적화된 UI 라이브러리
  • 컴포넌트를 설치하면 코드 그대로 프로젝트에 카피되어 커스터마이즈가 매우 쉬움
  • shadcn/ui는 라이브러리가 아니라 컴포넌트 소스를 직접 설치해 쓰는 점이 독특함

✅ 비유

shadcn/ui는 쿠킹 클래스 레시피 같다.
이미 완성된 음식을 사 먹는 게 아니라, 레시피를 직접 가져와 내 스타일대로 요리할 수 있다!


✅ 설치 방법

Next.js + TypeScript 프로젝트 기준

npx shadcn-ui@latest init
  • 질문에 따라 Tailwind, Typescript 설정 여부를 선택

✅ 컴포넌트 설치 예

npx shadcn-ui@latest add button
  • 결과
    • /components/ui/button.tsx 생성
    • Tailwind 스타일 + Radix UI 활용

✅ shadcn/ui의 장점

  • 컴포넌트 소스 직접 커스텀 가능
  • TailwindCSS 기반 → 스타일 일관성
  • Radix UI 기반 → 접근성(a11y) 우수
  •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유리
728x90
728x90

웹 백엔드 개발자에게 “APM”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APM(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은 서버에서 일어나는 트래픽, 쿼리, 오류, 응답 속도 등을 모니터링하고 병목을 찾아내는 툴이에요.

하지만 어떤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운영하느냐에 따라 APM 도입 난이도와 범위가 크게 달라집니다.
오늘은 올려주신 표처럼 웹호스팅 · 서버호스팅 · 클라우드 각각의 특성과 APM 관점에서의 차이를 정리해 볼게요.


✅ 웹호스팅과 APM

  • 특징
    • 호스팅 업체의 서버 일부만 임대
    • 서버 설정권한 없음
  • APM 활용
    • 매우 제한적
    • PHP 기반 웹호스팅이라면 New Relic, Datadog 같은 APM 연동이 어려움
  • 주로 이런 분들에게 적합
    • 단순 회사 홈페이지, 커뮤니티, 소규모 블로그
  • 백엔드 개발자 관점
    • 서버 성능 튜닝 불가능
    • 코드 단에서만 로깅/모니터링 가능

✅ 서버호스팅과 APM

  • 특징
    • 물리 서버를 단독으로 임대/구매
    • OS, 미들웨어, DB 직접 설치/운영
  • APM 활용
    • APM 설치 자유로움 (e.g. New Relic, Elastic APM, Datadog)
    • 서버 자원 직접 모니터링 가능 (CPU, Memory, Disk)
  • 주로 이런 분들에게 적합
    • ERP, 대형 쇼핑몰, 회사 인트라넷 등
    • 보안 중요 서비스
  • 백엔드 개발자 관점
    • 커스텀 설정 가능 → 성능 최적화 유리
    • 초기 비용/관리 부담 큼

✅ 클라우드와 APM

  • 특징
    • 가상 서버 사용
    • 필요할 때 자유롭게 서버 확장/축소
  • APM 활용
    • 가장 유연
    • AWS X-Ray, Azure Monitor, GCP Operations Suite 등 클라우드 네이티브 APM 사용 가능
    • 인프라 + 앱 모니터링 한 번에 가능
  • 주로 이런 분들에게 적합
    • 스타트업, 게임/영상 플랫폼, SaaS 서비스
  • 백엔드 개발자 관점
    • Auto-Scaling 환경에서도 트래픽 추적 가능
    • 비용은 사용량 따라 유동적
    • Observability 설계 필수

✅ APM 관점 정리

구분 웹호스팅 서버호스팅 클라우드
APM 도입 난이도 매우 어려움 (거의 불가) 높음 (자유롭게 가능) 매우 높음 (네이티브 툴 多)
모니터링 범위 어플리케이션 레벨 제한적 OS ~ App 전체 가능 OS ~ App + 클라우드 서비스까지 가능
확장성 불가능 물리 서버 한계 있음 Auto Scaling으로 무제한 확장 가능
비용 저렴 비쌈 사용량 기반, 효율적이지만 과금 주의

 


✅ 백엔드 개발자라면 기억할 점

  • 웹호스팅 → APM 기대하지 말고, 단순 로깅 수준 유지
  • 서버호스팅 → 직접 구축 가능, 성능 튜닝 최적
  • 클라우드 → 클라우드 네이티브 APM 적극 활용
    • 예) AWS X-Ray, GCP Trace, Datadog SaaS

결론
APM을 제대로 쓰고 싶다면 서버호스팅 or 클라우드가 답입니다.
특히 클라우드는 네이티브 APM 솔루션이 잘 갖춰져 있어 빠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요.
하지만 비용과 복잡도를 꼭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728x90
728x90

✅ RAG에서 Vector DB가 중요한 이유

RAG는 결국 “검색 + 생성”

  • RAG =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 LLM이 답변하기 전, 외부 데이터에서 유사한 정보를 찾아오는 과정이 핵심
  • 이 “검색”을 맡는 것이 바로 Vector DB

✅ Vector DB란?

Vector Database = 의미(semantics)를 숫자로 비교하는 데이터베이스

  • 텍스트 → 임베딩(Embedding) → 벡터로 변환
  • 수학적으로 코사인 유사도 같은 계산으로
  • “이 질문과 비슷한 내용이 뭐지?”
  • 수백만~수십억 개 벡터 중에서 가장 가까운 벡터를 빠르게 찾아줌

✅ RAG에 Vector DB가 필요한 이유

LLM 한계 보완

  • LLM은 학습된 지식만 답변
  • 최신 정보, 사내 데이터는 알 수 없음
  • → Vector DB에서 최신 문서를 검색 후 LLM에 context로 주입

의미 기반 검색

  • “책상” ≈ “데스크”
  • 키워드 검색은 못 잡아내는 의미적 유사도까지 검색 가능

대용량 데이터 처리

  • 수백만 개 문서도 빠르게 유사도 검색

✅ 대표적인 Vector DB들

아래는 RAG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Vector DB들 + 특징!


1. Pinecone

  • 완전 관리형 SaaS
  • Scale-out이 매우 쉽고 빠름
  • Multi-tenant 지원 → 여러 프로젝트 분리 관리
  • Hybrid Search 지원 (벡터+키워드)
  • 단점: 유료, 비용 다소 높음

2. Weaviate

  • 오픈소스 + SaaS 모두 가능
  • Graph-like 관계 탐색 가능 (Vector Graph)
  • Hybrid Search 지원
  • 자체적으로 Text2Vec 플러그인 제공
  • REST API, GraphQL 지원

3. Qdrant

  • Rust 기반 → 성능 빠름
  • Hybrid Search 지원
  • Docker로 손쉽게 로컬 실행 가능
  • 오픈소스 무료
  • 클라우드 서비스도 있음

4. Milvus

  • 가장 유명한 오픈소스 Vector DB
  • 수십억 벡터 저장 가능
  • Disk-based storage → 대규모 데이터에 유리
  • 복잡한 Index 옵션 다양
  • 단점: 세팅이 다소 복잡

5. Elasticsearch (Vector Search)

  • 전통 검색엔진 + Vector Search 추가
  • BM25 + 벡터 혼합 검색 가능
  • 이미 Elasticsearch 쓰고 있다면 도입 쉬움
  • 벡터 전용 DB보단 성능 약간 떨어질 수 있음

✅ RAG + Vector DB 동작 흐름

질문 → Embedding 생성 → Vector DB 검색 → Top-K 유사 문서 반환
→ LLM에게 context로 주입 → 최종 답변 생성

✅ Vector DB 선택 시 고려사항

  • 데이터 규모 (수백만 vs 수십억)
  • Hybrid Search 필요한가?
  • Latency (속도)
  • 운영 편의성 (SaaS vs Self-Hosted)
  • 비용

✅ 한 줄 요약

“RAG에서 Vector DB는 LLM의 두뇌에 최신 기억을 꽂아주는 USB다!”

 

728x90

+ Recent posts